🛡️ 웹 보안 취약점과 대응 방안 (4)
이번 포스팅에서는 웹 해킹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스크립트 및 쿼리 기반의 보안 취약점을 정리합니다.
13. Cross Site Scripting (XSS)
▸ 개념
- 웹 페이지에 악성 스크립트가 삽입되어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취약점
- 공격자는 사용자의 세션 탈취, 키로깅, 피싱 사이트 유도 등을 수행할 수 있음
▸ 주요 유형
- Reflected XSS: 사용자 입력이 바로 반영되어 브라우저에서 실행됨
- Stored XSS: 악성 스크립트가 서버에 저장되어 여러 사용자에게 실행됨
▸ 대응 방안
- 사용자 입력 입·출력 시 이스케이프 처리
- XSS 필터링 라이브러리 또는 프레임워크 사용 (Anti-XSS)
- 웹 방화벽(WAF) 도입
- 브라우저 보안 설정 강화
14. SQL Injection
▸ 개념
- 사용자 입력값을 통해 SQL 쿼리 구조를 조작하여 DB에서 민감한 정보를 탈취하는 공격
▸ 주요 유형
- Classic SQLi: 단순 입력 조작으로 DB 쿼리 삽입
- Union-based SQLi: UNION 구문을 활용하여 다른 테이블의 데이터 노출
▸ 대응 방안
- 입력값 화이트리스트 검증 필수
- Prepared Statement 사용 (예: ? 바인딩 방식)
- 웹 방화벽 도입 (소프트웨어형, 하드웨어형, 프록시형 등)
- DB 계정 권한 최소화
15. 권한 인증 취약점
▸ 개념
- 쿠키 또는 토큰 값을 변조하거나 세션을 탈취하여 다른 사용자의 권한을 획득하는 공격
▸ 대응 방안
- 세션 기반 인증 방식을 우선 사용
- 쿠키 사용 시 HttpOnly, Secure, SameSite 속성 적용
- 토큰 암호화 및 만료 시간 설정
16. 에러 처리 취약점
▸ 개념
- 서버에서 예외 처리 미흡으로 인해 시스템 구조, 경로, 쿼리문 정보 등이 에러 메시지를 통해 노출되는 취약점
▸ 대응 방안
- 모든 에러에 대해 사용자 정의 에러 페이지 설정
- 에러 로그는 내부 로깅 시스템에만 기록하고 클라이언트에게는 일반적인 메시지만 제공
- 개발환경과 운영환경을 분리하여 디버깅 정보 노출 방지
'침해대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록시(Proxy)의 정의 및 툴 (0) | 2024.03.18 |
---|---|
웹 쉘(Web Shell) 공격 개요 및 대응방안 (0) | 2023.11.25 |
웹 보안 취약점과 대응 방안 (3) (2) | 2023.11.25 |
웹 보안 취약점과 대응 방안 (2) (1) | 2023.11.25 |
웹 보안 취약점과 대응 방안 (1) (1) | 2023.11.25 |